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학원생의 하루는 왜 빠르게 지나가는가

by 데이빗_ 2025. 4. 10.
반응형

“오늘 뭐 했지…?”
하루가 끝나갈 무렵, 문득 이런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노트북을 덮고 집에 돌아와 가만히 앉아보면, 분명 바쁘게 움직였는데 기억에 남는 건 없습니다. 수업도 갔고, 지도교수님 미팅도 했고, 실험도 잠깐 돌렸고, 논문도 몇 개 찾아봤습니다. 그런데도 허무하게 느껴지는 건 왜일까요?

대학원생의 하루는 마치 작은 일들에 쪼개진 시간 조각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업, 과제, 실험, 회의, 알바, 개인 연구… 각각은 짧고 분절되어 있으며, 그 사이사이에 생기는 자투리 시간은 대부분 비생산적으로 흘러갑니다. 하루를 살아내는 것만으로도 피곤하지만, “오늘 나는 어떤 성과를 냈는가?”라는 질문에는 선뜻 답하기 어렵습니다.

 

타인의 일정에 끌려다니는 시간

대학원생의 일정은 본인의 계획보다는 타인의 요청과 시간표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갑작스러운 실험 요청, 지도교수의 미팅 일정, 팀원 간 회의 등은 미리 예측하기도 어렵고, 개인 연구 시간에 침범하기도 합니다. 마치 “내 시간”은 항상 다른 일에 밀려나 있는 것처럼 느껴지죠.

이런 구조에서는 시간의 주도권을 잃는 순간, 하루는 순식간에 흘러가 버립니다. 일하는 시간은 많지만, 일한 ‘느낌’은 없고, ‘진짜 하고 싶은 일’은 점점 미뤄지게 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노동의 시간들

대학원 생활의 특징 중 하나는 성과가 바로 드러나지 않는 일의 비중이 크다는 점입니다. 실험 장비를 세팅하고, 데이터를 정리하고, 선행 논문을 검색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이 들지만 결과는 눈에 잘 띄지 않습니다. 그래서 하루를 돌아볼 때 ‘시간 낭비한 건 아닐까’ 하는 자책이 들기도 합니다.

이런 시간들을 ‘보이지 않는 노동’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이 시간을 기록하고 시각화해봄으로써 ‘나는 아무것도 안 한 게 아니다’라는 자기 확신을 만드는 것도 필요합니다.

주의력은 분산되고, 결정은 계속된다

현대 대학원생은 연구와 공부 외에도 수많은 디지털 자극과 작은 결정들에 시달립니다. 슬랙 메시지, 카카오톡, 이메일, 알림… 계속해서 반응해야 하고, 반응할수록 집중력은 깨집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몰입이 어려워지고, 자잘한 일에 에너지를 소모하게 됩니다.

게다가 ‘무엇을 할지’ 끊임없이 결정해야 하는 상황은 생각보다 많은 정신적 자원을 소모합니다. “이 논문을 먼저 읽을까, 과제를 먼저 할까, 실험을 내일로 미룰까” 같은 선택이 반복되면 뇌는 쉽게 지치고, 어느 순간 아무것도 하기 싫어지는 상태에 이르죠.

기록되지 않는 하루는 흘러간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기록되지 않는 하루는 쉽게 잊힌다는 것입니다. 하루를 어떻게 보냈는지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면, 개선도 어렵습니다. 시간관리의 첫걸음은 “내 시간이 어디로 흘러갔는지”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하루 일과를 간단히라도 기록하고, 주간 단위로 돌아보는 습관을 들이면 큰 변화가 생깁니다. 흘러가던 시간이 ‘쌓이는 시간’으로 바뀌고, 내가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게 됩니다.

시간관리는 나를 되찾는 일이다

시간관리라고 하면 흔히 ‘더 많은 일을 해내기 위한 기술’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시간관리는 조금 다릅니다. 덜 하면서, 더 잘하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내 삶의 리듬을 되찾는 일입니다.

대학원생의 시간은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하며, 언제나 부족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의식적인 관리와 선택이 필요합니다.


[실습] 내 하루는 어디로 흘러갔을까? – 시간 추적 워크시트

① 하루 시간 로그 (기록용 표)

         
시간대 한 일 분류 (연구/수업/휴식/잡무 등) 집중도 (1~5) 비고
오전 9:00~10:00 실험 준비, 연구실 정리 잡무 2 실험은 못 시작함
오전 10:00~11:00 지도교수 미팅 회의 4 과제 방향 논의
오전 11:00~12:00 스마트폰 사용, 유튜브 휴식? 1 계획에 없던 활동
...        

TIP:

  • 최소 15~30분 단위로 기록해보세요.
  • 가능하면 하루 동안 직접 기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집중도’는 본인이 느낀 기준으로 자유롭게 적습니다.

② 나의 시간 분포 요약 (하루 끝에 작성)

활동 분류 총 소요 시간 느낀 점 요약
연구 및 실험 3시간 집중은 잘 됐지만, 준비 시간이 길었음
수업 및 공부 2시간 수업 내용이 흥미
잡무 및 회의 2시간 잡무에 많이 끌림
휴식 및 유튜브 3시간 계획보다 많이 봄

③ 하루 회고 질문

  • 오늘 나는 무엇에 가장 많은 시간을 썼는가?
  • 가장 몰입되었던 시간은 언제였나?
  • 예상보다 시간을 많이 쓴 활동은 무엇이었는가?
  • 내일은 어떤 활동에 시간을 더 투자하고 싶은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