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빗의 독서노트

여가를 즐기는 방법도 배워야 한다

by 데이빗_ 2020. 12. 13.
반응형

새로운 관심사가 생겼다. "놀이". 너무 "업무"로만 삶을 채우다 보면 인생이 갑갑해질 것 같기도 하고, 업무 외에 잘하는거 하나정도 더 있어도 괜찮겠다는 생각에 이리저리 취미생활을 탐색해 보고 있다. 얼마 전까지 캠핑 하면서 쉼을 얻었고, 최근에는 유튜브 보면서 그림을 따라 그리다 보니 재미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너무 인생을 궁서체로만 살면 좀 별로일 것 같다. 흑백 스케치도 멋지지만, 칼라로 색칠하면 좀더 멋지고 다채로운 그림이 될 수 있듯이, 취미생활로 적절한 윤활유를 공급해 주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그런 의미에서, 김정운 교수의 "노는 만큼 성공한다" 라는 책을 읽고 있다. 출간된 지는 좀 되었지만, 요즘 내 일상의 화두와 잘 맞닿아 있어서 흥미롭게 읽고 있다. 제목도 끌렸다. 열심히 일해야 성공하는 거지, 놀아야 성공한다니? 

아직 첫 장밖에 못 읽었지만, 저자가 이 책에서 제기하는 문제들에 공감이 갔다. 저자는, 한국 사회의 문화심리학적인 구조가, 제대로 놀지 못하는 현상을 빚어내고 있다고 진단한다. 노는걸 죄악시하는 분위기는, 그냥 괜히 형성된게 아니다. 70년대에는 "잘 살아 보려고"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근면 성실하게 일했다. 80년대에는 '민주화 투쟁'을 하느라 여가를 즐길 틈이 없었다. 젊을 때 쉴줄 모르고 일했던 기성세대들이 만든 문화는, 쉬는걸 금기시한다. 쉬다니, 게으르네? 잘 살게 되어서 조금 여유를 찾아도 되나 했는데 IMF 사태가 터졌다.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렸다"는 외신의 조롱, 그리고 집단적 반성 "잘 살게 된지 얼마나 됐다고 ㅉㅉ..."

저자는 "잘 노는 방법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빠른 시간 내에 잘 살게 되었다. 정부 주도로 빠른 시간 내에 여가시간이 늘어났다. 그런데, 일만 하며 살았더니 갑자기 생긴 여가시간을 어떻게 알차게 보내야 할지를 고민한 적이 없다는 것. 그래서 저자는, "재미와 행복이라는 궁극적 가치를 추구하는 법을 끊임없이 학습해야 한다." 라고 말한다. 

남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나 역시도, 휴가 내려면 뭔가 죄스러운 마음이 들고, 일찍 가는 후배사원을 보면 "회사생활을 되게 프리하게 하네?" 하는 생각이 든다. "주말이 빨리 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면서도, 정작 주말이 되면 뭘 해야 할지 고민한다. 저자는 "행복과 재미는 궁극적 가치다."라고 말한다. 나는? 궁극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자원을 확보하는 과정 (=일) 은 열심히 하면서도, 그 자원을 가지고 궁극적인 가치를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다 읽은 건 아니지만, 기대가 된다. 여가를 보내는 방법을 "이거다"라고 알려주지는 않겠지만, 저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여가문화가 무엇인지,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내면 좀더 유익하고 풍요롭게 인생을 만들 수 있겠는지에 대해 나름대로의 통찰을 얻어 볼 생각이다. 공감이 간 구절 몇 개를 소개한다. 

 

기억에 남는 구절

"노는 이야기"는 그저 재미있는 이야기가 절대 아니다. 한국의 미래가 걸린 정말 중요한 이야기다. 한국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는 왜곡된 여가 문화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불필요하게 과도한 불안과 공포는 정상적인 삶을 방해한다. 이를 '부적응적 불안'이라 한다. 부적응적 불안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특징은 위험한 상황이나 불안한 요인을 과민하게 인식한다는 것이다. 

"노동시간의 단축"은 "여가시간의 증가"를 뜻한다. 서구 사회는 200년에 걸쳐 노동시간을 단축해왔고, 즉, 200년에 걸쳐 형성된 여가 문화가 있다는 의미이다. 우리나라는? 압축성장, 정부 주도의 노동시간 단축으로 인해 갑자기 시간이 많아졌다. 여가 문화가 제대로 발달할 시간 자체가 없었다.

생산적 여가문화와 창의적 경제활동은 동전의 양면... 노동시간이 감소하면, 노동집약적인 제조업에서 창의적인 서비스업으로 필연적으로 변화해야 하는데, 서비스업이란 게 대부분 여가시간에 이뤄지는 활동과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

갑자기 생긴 여가시간을 주체하지 못해, 삶의 질을 높이기보다는 상업적이고 자극적인 여가문화가 형성되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제부터라도 '어떻게 하면 잘 놀 수 있을까'를 이야기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