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글모음672

좋은 리더십이란? 내재적 동기를 끌어내는 리더 들어가며 아침에 출근하면 항상, 전날 저녁에 진행된 업무의 결과를 확인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저 뿐 아니라 대부분의 이공계 직장인라면 비슷하겠지요. 지난 주 목요일은, 기대했던 결과가 나와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함께 일하는 주니어 엔지니어 한 명이, 본인이 진행한 실험 결과를 확인하더니 예상대로 나왔다며 박수를 치며 환호를 하더군요. 프로젝트 전체 차원에서 보면 큰 영향이 있는 것은 아닐지 모르나, 자기가 맡은 업무에서는 나름대로 기대했던 결과가 나와서 좋아하는 것 같아 보였습니다. 내재적 동기가 즐겁게 일하게 만든다. 전문 직장인으로서의 즐거움 흔히 있는 일이지만, 직장인 그리고 직업인으로서의 삶이라는 게 그런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프로젝트가 잘 된다고 해서 돈을 더 받는 것도 아니.. 2021. 11. 27.
최악을 극복하는 힘 3 :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 들어가며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최악을 극복하는 힘"의 두 번째 챕터를 리뷰 해보려고 합니다. 이 장에서 저자는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는 생리적으로 완전히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취지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어째서 그런 것인지 흥미롭군요.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는 다른 것이 아니다. 스트레스와 트라우마의 생리학적 유사성 저자는 우리 사회가 그리고 많은 전문가들이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를 별개의 것이라고 간주하고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와 같은 견해에 대해서 저자는 이 둘은 신경생물학적 기반이 동일하고 깊은 연관이 있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스트레스를 꼭 회복해 주어야 하는 이유는? 스트레스가 지속되어 신체적 생리적으로 그에 대한 고도의 텐션이 누적되면 조절 능력을 상실할 수 있는데, 트라우마.. 2021. 11. 26.
최악을 극복하는 힘 2 :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당신에게 생기는 일 들어가며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한 엘리자베스 스탠리 박사의 "최악을 극복하는 힘"의 첫 번째 챕터를 읽으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간단한 느낀 점, 그리고 적용할 점이 있는지 상기해 보려고 합니다. 누적된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해서 저자의 개인적 경험 저자는 첫 챕터에서, 극심한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었던 개인적 경험들을 상기하면서, 지속적인 스트레스 앞에서 적절한 회복의 기회를 갖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스스로를 밀어붙이는 방식으로 대응해 왔다고 회고합니다. 스트레스로부터의 회복보다는 그것을 이겨내기 위해 자기 자신을 몰아붙이는 방식으로 대응한 덕분에 사회적으로 많은 성취를 이룰 수 있었찌만, 한편으로는 지속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동안 정신적 / 신.. 2021. 11. 25.
최악을 극복하는 힘 1 : 스트레스와 트라우마에 대한 신경과학적 접근 들어가며 요즘 "최악을 극복하는 힘"이라는 책을 읽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체인지그라운드"를 통해 알게 된 책인데, 서점에서 보니 두께가 상당히 나가는 책이더군요. 처음에 그 분량에 압도되었는데, 워낙 평이 좋은 책이어서 리디북스를 통해 구매해서 읽고 있습니다. 처음 세 챕터를 읽었는데, 끝까지 읽을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악을 극복하는 힘 : 스트레스와 트라우마에 대한 신경과학적 접근 저자 소개 저자인 엘리자베스 스탠리 박사는, 스트레스와 트라우마 치료를 연구하는 임상치료사입니다. 그는 미 육군에서 장교로 근무했고, 어린 시절부터 군 복무 기간을 통틀어 수 차례나 성적인 학대와 폭행을 당했던 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누적된 불행한 경험, 그리고 그로 인해 쌓인 스트레스와 트라우마.. 2021. 11. 24.
생산적 사고의 두 번째 단계 : 무엇을 성공으로 삼을 것인가? 들어가며 오늘은 오랜만에 "탁월한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를 읽고 배운 내용을 적어 보려고 합니다. 지난 포스팅부터는 생산적인 사고를 하는 각 단계의 세부적인 과정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데, 오늘 읽은 내용은 지난 시간에 다루었던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기"에 이어서, "무엇을 성공으로 삼을 것인지"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한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더 읽기 "생각하는 방법"도 배울 수 있다 : 탁월한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탁월한 생각을 가로막는 세 가지 방해요소 아이디어가 샘솟는 방법은? :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탁월한 생각 : 무의식에 갇힌 아이디어를 끌어내려면? 질문하고, 또 질문하라. 잘못된 브레인스토밍이 있다? 올바른 브레인스토밍 기법은? 올바른 문제해결 방법 : 생산적 사고 프.. 2021. 11. 23.
슬로 싱킹 : 장기 몰입을 할 때 기억해야 할 11가지 원칙 들어가며 오늘은, 황농문 교수님의 '슬로싱킹' 제8장, 몰입에 이를 때 기억해야 할 11가지 원칙에 대해서 읽어 보았습니다. 저자는 경험과 많은 상담 사례로부터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슬로 싱킹을 지속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11가지 원칙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하게 느껴질 수도 있고, 이미 일부는 삶 속에서 실천해 오고 있는 것들도 있었는데요, 책에서 소개한 열 한 가지 원칙을 되짚어 보면서 향후 개선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점검해 볼 수 있는 유익한 꼭지였습니다. 더 읽기 슬로 싱킹 : 천천히 생각하기 : 몰입하기 : 진정한 행복의 방법 슬로 싱킹은 어떻게 하는 걸까? 어떻게 24시간 몰입을 하지? 슬로 싱킹 : 이완된 상태에서 생각하기 (선잠을 자야 하는 이유) 슬로 싱킹 : 시냅스를 계.. 2021. 11. 22.
영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 잉글리시에그 후기 들어가며 둘째 아이가 영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짧은 영어 문장을 배우고 있는 모양이에요. 처음 접하는 외국어가 신기했는지 곧잘 따라 하고, 집에 와서도 계속 흉내 내고 제법 단어를 바꿔가면서 응용까지 하더라구요. 이 시기를 잘 활용해 주어야 되겠다 싶어서, 영유아 영어 교육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교육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마땅히 정보가 없었어요. 아이 교육에 열정이 있으신 분들은 여러 교재와 교구들을 직접 써치해서 아이들에게 제공하신다는데, 저는 그럴 만한 시간이 충분치 않아서 주위 분들에게 아이들 영어교육 어떻게 시키는지 여쭤보았습니다. 잉글리시에그 사용후기 마침 동료분 중에 아이들 영어교육에 관심이 많고정보도 밝으신 분이 계셔서. 그분께 여쭈어 보았더니, 잉글.. 2021. 11. 21.
진짜 게으른 사람이 쓴 게으름 탈출법 들어가며 "진짜 게으른 사람이 쓴 게으름 탈출법" 이라는 책을 읽고 있습니다. 이 책은 본인 스스로도 "프로 게으르머" 라고 인정할 만큼 정말 게으른 사람이 어떻게 게으름을 탈출하고 의지력을 통제하는 사람이 되었는지, 본인의 경험에서 나온 이야기를 진솔하게 쓰고 있습니다. 진짜 게으른 사람이 쓴 게으름 탈출법 크게 일곱 개의 챕터로 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챕터는 "게으름 연대기"라고 해서, 저자 자신이 얼마나 게으른 사람이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게으름을 탈출할 결심을 하게 되었는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의지력이란 무엇일까? 두 번째 챕터는, 의지력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저자는 이 장에서, 진정한 변화는 자기의 의지력 수준을 정확하게 깨닫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이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왜 작심삼일이 .. 2021. 11. 21.
열등감 자가진단, 열등감의 원인, 열등감의 해결방법은? 들어가며 직장생활을 할 때 꼭 알아야 할 중요한 테크닉 중 하나는, 바로 열등감을 극복하는 기술입니다. 열등감이 없는 사람은 없지요. 우리 모두는 열등감을 조금씩은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특히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일하는 직장인의 경우에는, 주위에 비교할 대상이 많기 때문에 열등감을 느낄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습니다. 열등감은 본인의 능력치를 제한하고, 행복감을 떨어뜨립니다. 직장인으로서는 가장 심각한 데미지를 주는 요인 중 하나이죠. 열등감에 빠지면, 매사에 자신감이 없어지고 새롭게 도전하고자 하는 마음이 사라지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업무 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겠지요. 좀더 근본적으로는, 자기 자신에 대한 효능감이 없어지기 때문에 행복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직장 생활도, 사회 생활도,.. 2021. 11. 20.
슬로 싱킹 : 천천히 생각하면 뇌 안에서 생기는 일 들어가며 오늘은 요즘 흥미있게 읽고 있는, 슬로 싱킹에 대해서 이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 공유할 내용은 슬로 싱킹을 하는 동안, 우리 뇌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 또 다른 관점으로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더 읽기 슬로 싱킹 : 천천히 생각하기 : 몰입하기 : 진정한 행복의 방법 슬로 싱킹은 어떻게 하는 걸까? 어떻게 24시간 몰입을 하지? 슬로 싱킹 : 이완된 상태에서 생각하기 (선잠을 자야 하는 이유) 슬로 싱킹 : 시냅스를 계속해서 자극하는 방법 슬로싱킹 : 장기 몰입을 할 때 기억해야 할 11가지 원칙 천천히 생각하면 벌어지는 일은? 의식의 통합 작업공간 이론 저자는 '의식의 통합 작업 공간 이론'이라는 것을 인용하면서, 무대 위에서 스포트라이트가 비치는 지점을 우리의 의식으로 표현하.. 2021.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