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

현대차우, 투자할만한 주식일까?

by 데이빗_ 2025. 3. 24.
반응형

오늘은 조금 조용하지만, 투자자라면 한 번쯤 관심을 가져볼 만한 종목인 현대차우(현대자동차 우선주)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우선주에 대한 소개, 그리고 현대자동차의 밸류에이션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현대차가 앞으로도 지속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과 리스크를 제 관점에서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현대차우는 보통주와 달리 의결권은 없지만, 안정적인 배당과 할인된 주가라는 두 가지 장점을 갖고 있는 종목입니다.
 


왜 '우선주'인가?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일반적으로 더 낮은 가격에 거래됩니다. 같은 회사, 같은 실적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건 곧 더 낮은 밸류에이션에 투자할 수 있다는 의미죠. 특히 현대차우는 보통주 대비 20~30% 정도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은 보통주보다 조금 더 많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2023년 기준 현대차 보통주는 7,000원의 배당을 지급했고, 우선주는 8,000원을 받았습니다. 배당 수익률로 환산하면 우선주 쪽이 훨씬 유리합니다.


수익률 관점에서 본다면?

주가 상승이 제한적일 수 있지만, 배당수익률 4~5% 수준이 꾸준히 유지되는 종목은 드뭅니다. 특히 현대차처럼 실적이 안정적이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는 기업이라면, 장기적인 현금흐름 확보 수단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습니다.
게다가, 우선주는 시장 변동성에도 상대적으로 주가 하락 폭이 덜한 편이기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자에게도 어울리는 선택입니다.


보통주 대신 우선주를 고려해야 할 이유

현대차우는 단기 트레이딩보다는, 장기적으로 배당과 기업 가치 증가에 투자하는 성향의 투자자에게 잘 맞는 종목입니다.
특히,

  • 배당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싶은 분
  • 시장 소음에 덜 흔들리는 안정적인 자산을 원하시는 분
  • 동일한 기업에 더 낮은 가격으로 투자하고 싶은 분

이라면 한 번쯤 눈여겨볼 만합니다.


현대자동차,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는?

1. 현대자동차의 최근 주요 투자지표

EPS(원)5,14417,84626,59243,58946,042
BPS(원)257,028277,875303,544341,739405,094
PER37.3311.715.684.674.6
PBR0.750.750.50.60.52

2. 최근 5년간 영업이익, 순이익, 주당순이익, 배당금 추이

매출액1,176,1061,421,5151,626,6361,752,3121,626,636
영업이익66,78998,249151,269142,396151,269
당기순이익56,93179,836122,723132,299122,723
EPS(원)5,14417,84626,59243,58946,042
DPS(보통주,현금)(원)3,0005,0007,00011,40012,000
DPS(1우선주,현금)(원)3,0505,0507,05011,45012,050

3. 최근 5년간 연평균 BPS 성장률 및 ROE

BPS 성장률 계산:

  • 2020년 BPS: 257,028원
  • 2024년 BPS: 405,094원

연평균 성장률 = [((405,094 / 257,028) ^ (1/4)) - 1] × 100 ≈ 12.04%
ROE (자기자본이익률):

20202.0
20216.8
20229.4
202313.7
202412.4

4. 향후 10년간 배당금 총합 및 BPS 상승 예상

  • 배당금(DPS)이 연 8,000원으로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 BPS 연평균 성장률을 10%로 지속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0년간 배당금 총합: 8,000원 × 10년 = 80,000원
10년 후 BPS 예상치: 405,094원 × (1 + 0.1)^10 ≈ 1,050,709원
BPS 상승 총합: 645,615 원


5. 물가상승률 및 채권이자율과의 비교

최근 물가상승률 및 채권이자율:

  • 한국의 최근 물가상승률: 약 2.5%
  • 국고채 10년물 금리: 약 3.0%

비교:

  • 배당수익률: 8,000원 ÷ 154,000원(주가 가정) = 5.1%
  • BPS 연평균 성장률: 10%

기업가치만 놓고 보면, 더구나 우선주의 싼 가격을 놓고 보면, 투자매력은 상당한 주식인 것 같습니다.
현대자동차의 미래 성장 가능성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동시에 몇 가지 중요한 리스크도 함께 안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현대자동차의 성장 기회리스크 요인을 균형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현대자동차의 성장 가능성 – 어떤 기회가 있는가?

1. 전기차(EV) 및 친환경차 전환

  • 현대차는 아이오닉 브랜드를 중심으로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EV 시장에서 점유율을 점차 넓히고 있습니다.
  • 배터리, 충전 인프라, 자체 플랫폼(E-GMP) 등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해 가고 있습니다.
  • 2030년까지 EV 생산 목표를 크게 확대하고 있어, 친환경차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2.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생산거점 확장

  •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 건설 중으로, 북미 시장에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유럽, 인도, 동남아 시장에서도 생산 및 판매 체계를 강화하고 있어, 지역 다변화 전략이 실적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의 성장

  • 제네시스는 국내를 넘어 미국, 중동 등에서 럭셔리 브랜드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 고급차 비중 확대는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자율주행 및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 현대차는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소프트웨어 중심 구조로 변화를 시도 중입니다.
  • 자율주행 기술 확보, 커넥티드카 생태계 참여 등이 장기 성장성을 높여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현대자동차의 리스크 – 어떤 위험이 존재하는가?

1.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

  • 테슬라, BYD, 폭스바겐, 도요타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 현대차는 아직 전기차 판매량 면에서 후발주자이며, 원가 절감과 브랜드 인식 측면에서 도전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2. 배터리 공급망과 원자재 가격

  • 배터리 원재료(리튬, 니켈 등)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성이 쉽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 자체 배터리 생산 역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협력사 의존도는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글로벌 경기 둔화와 소비 위축

  • 고금리,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둔화될 경우,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특히 고급차와 전기차는 경기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4. 노사 이슈와 국내 생산 구조

  • 현대차는 전통적으로 강성 노조와의 협상 이슈가 반복되어 왔습니다.
  • 인건비와 생산효율 측면에서 여전히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결론

현대자동차는 분명히 전기차, 글로벌화, 브랜드 고급화, 모빌리티 전환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미래 성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경쟁 격화와 경기 불확실성, 공급망 리스크는 여전히 넘어야 할 산입니다.
따라서 현대차에 투자하거나 관심을 두는 분들이라면, 성장성에 대한 기대와 함께 리스크 관리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이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