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글모음670 독서후기 작성 프로세스 그저 읽기 말고, 깊이 생각하기많은 독서법 책에서 말하듯,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생각하는 과정이다. 읽은 내용을 다시 한 번 씹어서 소화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기억에 좀더 잘 남길 수 있고, 생각의 폭이 확장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꼼꼼히 밑줄치며 읽고 메모하면서 이런 과정을 거치고, 어떤 사람은 책의 내용을 수기로 옮겨 적으면서 사유의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그저 읽기만 하는 사람'에서 좀더 잘 읽으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된 것은, 김병완 작가의 '초의식 독서법'을 읽고 나서부터였다. 책은 지식을 쌓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의식을 넓히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독서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나서부터, 그저 읽고 치워 버리는 독서가 아니라, 뭐 하나라도 읽.. 2017. 2. 8. 주일설교노트 : 기드온처럼 절망하고 있을 때 이천신하교회 주일설교 요약 및 깨달음 정리 http://shinha.org/files/attach/images/741/286/465/5731015d83f8dea93bad35340a28b036.mp4 사사기 6:1~12 기드온처럼 절망하고 있을 때 창세기 외에는 대부분 지루한 구약 율법서 (레위기~신명기) 를 넘어서면, 여호수아와 사사기를 만나게 된다. 역사서는 대부분 율법서보다 읽는 재미가 있었고, 사사기는 특히 흥미있는 사건들이 많이 숨겨져 있기 때문에 잠시 지루함을 잊고 읽곤 했었다. 금일 설교 본문이 된 사시기6장은, 이스라엘의 다섯 번째 사사 (드보라와 바락을 모두 다 사사로 분루하면 여섯 번째) 인 기드온을 부르시는 장면이다. 이스라엘의 범죄로 인해 미디안 족속에게 7년 동안 압제를.. 2017. 2. 7. 일기 단상 심심해서, 문득 그 동안 썼던 일기장을 들추어 보고 싶었다. 작년 초에 썼던 일기를 이리저리 뒤적뒤적 해 보니, 추억이 새록새록 솟아나는 게 느껴졌다. 벚꽃이 피던 날 아내와 놀러 갔던 이야기, 아파트 경매에 관심이 있어서 충남 어느 도시까지 내려갔다가 그 집에 관리비가 엄청 많이 밀려 있어서 실망하고 돌아왔던 이야기, 아내를 좀 쉬게 하고 싶어서 아기만 데리고 어딜 놀러갔다 왔던 이야기 등등, 그 당시에는 무미건조하게 있었던 사실 위주로 적었던 이야기도, 지금 다시 들추어 보니 그 때의 느낌과 정서와 감정이 그대로 되살아나는 신기한 경험이었다. 당시 무슨 고민을 했는지, 어떤 책을 읽었는지, 어떤 사유를 했는지 등등 다양한 이야기가 적혀 있었는데, 아직 1년밖에 지나지 않아서 "그 땐 이랬구나".. 2017. 2. 5. 독서후기 (2017-10) : 비주얼 씽킹 좀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이 있을까?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좀더 재미있게 기록하는 방법이 있을까? 알아보기 힘든 글자들로 빽빽한 노트나 일기장, 그리고 다이어리를, 좀더 재미있고 맛깔나게 만들어 볼 수는 없을까? 정보 홍수의 시대이다. 끊임없이 정보들이 쏟아져 들어온다. 갈무리하고 보관해야 할 정보들도 많다. 하지만 사람이 문자를 통해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제한되어 있다. 문자로만 이루어진 데이터는 빠른 시간에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사람의 뇌는 글자보다는 그림을 더 빠르게 이해하도록 되어 있다. 글자는 고도로 추상화된 기호 체계이다. 글자는 사물 자체를 표현해 주는 것이 아니다. 사물이나 감정에 소리로 된 이름을 붙이고. 소리에 다시 형상으로 된 기호를 일정.. 2017. 2. 4. 독서후기 (2017-9) : 메모 습관의 힘 술이 술을 부른다고 했던가? 책은 책을 부르는 것 같다. 일전에 읽었던 “독서자본”의 저자는 책 뿐 아니라 유익한 다큐멘터리나 동영상 강의 등도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매체로서 활용한다고.. 그래서 나도 유튜브를 통해 세바시 강의도 듣고, 몇몇 유익한 다큐멘터리도 보았다. 그러다 우연히 만나게 된 신정철 저자의 “메모, 공부를 바꾸다” 라는 주제의 세바시 강의를 만나게 되었는데, 내용이 인상적이었다. “미디어노트”카테고리에 대략의 강의내용과 링크 요약을 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아무튼, 이 강의를 듣고 나서 “기록”과 “메모”라는 주제에 관심이 생겼다. 내친 김에 리디북스에서 저자의 책을 사서 읽어 보았다. 체험에서 나온 메모에 관한 통찰을 볼 수 있는 좋은 책이었다. 왜 메모를 해야 .. 2017. 2. 1. 독서후기 (2017-8) : 재정의 청지기 직분 재정 문제는 참 예민하다. 교회가 돈 이야기를 해야 하는가. 하나님께서 우리의 재정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시는가. 가난과 빈곤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성경에서 찾을 수 있는가. 결국, “하나님께서 돈을 주시는가?” 이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해 참 많은 시간을 들였다. 헌금을 많이 하면 복을 받는가? 하나님께 열심히 충성하고 봉사하면 그 대가로 복을 받는가?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나님께 많은 복을 받을 수 있는가? 어찌보면 지극히 세속적이고 탐욕적이고 초보적인 질문 같지만, 결국, 하나님께서 우리의 필요를 돌보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쨌든 살아가는 데는 돈이 필요하다. 돈은 권력이고, 영향력이다. 건강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복이지만, 돈은 하나님께서 주시지 않는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하.. 2017. 1. 30. 강연후기 : 메모, 공부를 바꾸다 https://m.youtube.com/watch?spfreload=10&v=ozdt_rTL57A 짧은 강의였지만, 참 도움이 많이 되었다. 이라는 책의 저자 신정철 작가의 세바시 638회 강연. 왜 메모를 해야 하는가? 그저 잊지 않기 위해 메모한다고 생각했는데, 그뿐이 아니었다. ------------------------------------------------------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나의 생각을 수집하고 체계화할 때 나만의 지식이 만들어진다. 생각을 수집하기 위한 것이 메모이다.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는 것만으로 공부가 되는 게 아니다. 자기가 뭘 하고 싶은지 모르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관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으려면, 다양한 경험을 할 때 나타나.. 2017. 1. 26. 독서후기 (2017-7) : 독서 자본 제목이 끌렸다. 내가 가장 관심있어 하는 두 가지 키워드를 이어 놓았다는 점에서 제목이 아주 확 끌렸다. 축적된 독서 경력을 자본으로 표현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자본도 축적되면 점점 불어나는 속성을 가지듯, 독서 역시 마찬가지인 것 같다. 독서력은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향상된다. 책을 한권 두권 읽을수록, 한 번에 읽을 수 있는 분량이 많아지고, 책이 쌓이는 속도는 점점 증가한다. 최근 독서량이 다소 줄면서, 약간의 슬럼프를 경험하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마음을 다잡고 있다. 책을 많이 읽는다고 누가 상을 주는 것도 아니고, 무슨 자격증을 주는 것도 아니다. 그래도 책을 다시 읽겠다고 다짐하는 것은, 저자의 말마따나 “결과가 확실히 보장된 자기 성장 프로젝트”이기 때문. 저자는 4,000권.. 2017. 1. 25. 독서후기 (2017-6) : 은혜와 믿음의 균형 안에 사는 삶 어릴 때부터 아주 율법적인 신앙생활을 해 왔다. 내가 어릴 때 다니던 교회에서는, 주일예배를 빠진다거나, 십일조를 “떼어 먹는”다거나, 술을 마신다거나 하는 행위는 중범죄로 간주되었다. 모든 공예배에 참석하는 것이 기본이고, 성경은 매일같이 10장 이상씩 읽었다. 그렇게 해서 하나님을 설득시키고 감동시켜야 하나님께서 움직이셔서 복을 주신다고 믿었기 때문에. 실제로 나는 그렇게 배웠다. 우리의 열심으로 하나님을 움직여야 하나님께서 기도에 응답하신다고 배웠다. 열심이 따르지 않으면 간절함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하나님께 복을 받을 수 없다는 가르침을 들으며 살았다. 나만 그런 것은 아닐 것이다. 한국의 기독교 문화가 전반적으로 그런 식이다. 목소리 높여 부르짖어야 하나님께서 응답하신다고 믿는다. “하늘의.. 2017. 1. 23. 독서후기 (2017-5) : 하나님의 충만함 안에 거하는 열쇠 하나님의 충만함 안에 거하는 열쇠 앤드류 워맥 목사는 국내에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내가 보기에는) 성서적 진리를 가장 명료하고도 균형 있게 가르치는 성경 교사 중 한 명이 아닌가 싶다. 논쟁이 있는 신학적 주제에 대해, 한쪽 입장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급진적인 주장을 펼치는 책을 많이 보아 왔다. 앤드류 워맥도 나름대로 주장과 논리가 있지만, 비교적 논조가 온건하고 지나치게 강성이 아니어서 읽기에 큰 부담이 없이 편했다. 교리적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부분을 교정할 기회도 되었다. 신앙생활을 마음가짐으로 해야 하는지 다시 한 번 상기하고 자세를 가다듬는 계기도 되었다. 이 책은, 구원받은 우리가 하나님의 충만함을 온전히 받아 누리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다. 꼭 천국에 갈 때까지.. 2017. 1. 22.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