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네스프레소 커피머신을 샀다. 네스프레소 에센자 미니 돌체구스토 캡슐커피 머신이 있는데 왜 굳이 또 샀느냐. 네스프레소가 캡슐이 좀더 작고 예뻐 보여서였다. 커피 맛은 어차피 잘 모르고, 폼생폼사인데 좀더 예쁜게 낫지 않나 하는 생각에 이왕 지름신 온거 미친척 딱 한번만 더 해 보자는 심산으로. 11번가에서 네스프레소 에센자 미니를 13만원인가 정도 되는 가격에 구매해 보았다. 네스프레소 에센자 미니 언박..
<규칙 없음>을 읽으며 - (5) <규칙 없음> 제5장에서는, 비밀이 없는 문화를 추구하는 넷플릭스의 정책에 대해 소개한다. 저자는 넷플릭스에서는 투명성이 중시된다고 말한다. 보통 회사들 같았으면 직원들에게 노출하지 않았을 정보들도, 과감하게 오픈한다고 한다. 기밀 사업 정보들, 경쟁자가 알면 경영의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정보들까지도 모두 일반 구성원들에게 공개한다는 것이다. 정보를 모두 공개했을 때의 장점은..
<규칙 없음>을 읽으며 - (4) 높은 수준의 인재들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업계 최고의 수준으로 대우하는 것이다. 업종의 특성에 따라 약간씩 다를 수 있다. 육체노동이나 관리/운영이 주 업무인 분야는 스타 플레이어라고 해서 남들 대비 2~3배 이상의 성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과 같이 창의적 아이디어가 필요한 업무에 있어서는, 한 명의 스타 플레이어가 보통 엔지니어 100명 이..
<규칙 없음>을 읽으며 - (3) <규칙 없음> 제3장에서는, 출장,휴가, 그리고 각종 경비에 관한 규정을 없앰으로써 얻게 된 이득을 소개한다. 넷플릭스는 직원들의 휴가 일수에 대하여 제한을 두지 않는다고 한다. 몇 시간을 일하느냐보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많은 성과를 내느냐 하는 것이므로, 성과를 낼 수 있다면 휴가 일수에 관한 규정은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휴가 규정을 없애면 두 가지 상반된 문제가 발생할 수..
<규칙 없음>을 읽으며 - (2) "규칙 없음" 2장에서 저자는, Netflix에서는 동료 간의 솔직한 피드백을 장려하고 권장한다고 말한다. 싫은 소리도 가감 없이 면전에서 바로 하는 게 넷플릭스의 문화라는 것이다. 한국이라면 그렇게 할 수 있을까? 앞으로 계속 보아야 하는 동료인데, 면전에 대고 고쳐야 할 점을 적나라하게 말한다면, 누가 그 사람과 같이 일하려고 할까. 그리고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로 가득 찬 조직이 과연 행..
<규칙 없음>을 읽으며 - (1) YES24 책쇼핑을 하다가 만나게 된 책. 영어 제목이 재미있다. No Rules Rules. 세계적인 동영상 채널 넷플릭스의 기업문화에 관한 책이다. 넷플릭스의 창업자 리드 헤이스팅스가 직접 썼는데, 성공한 경영자가 쓴 경영서 읽기를 좋아하는지라 넷플릭스의 성공담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아무런 규칙이 없다니? 그래도 꽤 규모있는 글로벌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나름대로 정교하고 촘촘하게 짜..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를 읽으며 - (1) "수면"전문가인 유명한 신경과학자 "매슈 워커" 의 저작이다. 수면 전문가답게, "잠"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깊이있게 쓴 잠 추천서? 잠 사용법에 관한 책이다. 학창 시절부터 오늘까지, 잠은 가급적 줄이는 것이 미덕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살아 왔다. 자는 시간 동안에는 아무 것도 할 수 없기에, 그리고 잠이라는 게 대체로 달콤하기에, "잠"은 게으름과 비효율의 결정체라고 생각했..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를 읽으며 - (2) 지난 포스팅에서 "수면"이라는 주제로 읽게 된 좋은 책에 대해서 언급했었다. 이 책의 둘째 장에서는, 사람의 수면 주기가 무엇에 의해서 결정되는지를 다룬다. 사람은 왜 자고, 왜 깨는 것일까? 무엇이 잠을 불러오고, 쫓아내는 것일까? 카페인이 잠을 쫓아준다고 하는데, 원리는 무엇이고 부작용은 없는 것일까? 사람이 자고 깨는 것을 결정하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고 한다. 하나..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를 읽으며 - (3) 요즘 읽고 있는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에 대해 기록을 남기고 있다. 사람은 왜 자고, 왜 깨는 것일까? 무엇이 잠을 불러오고, 쫓아내는 것일까? 지난 포스팅에서 사람이 자고 깨는 것을 결정하는 두 가지 요인중 하나인 "생체시계"에 대해 공부한 것을 적어 보았는데, 여기서는 두번째 요인인 "피로물질이 유발하는 수면압력" 에 대해서 공부한 걸 적어 보려고 한다. 잠을 깨..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를 읽으며 - (4) 자는 사람의 특징은? 첫째, 누워 있다. 근육이 축 늘어져 있다는 것은 잠의 특징이다. 둘째, 특정한 자세를 취한다. 육상동물은 대부분 눕거나 엎드려 잔다. 셋째, 의식의 상실. 반응을 하지 않는다 그러면, 내가 잠을 잤다는 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첫번째: 외부 인식을 상실한다. 두번째: 시간 감각이 왜곡된다. 시간 왜곡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로는 긴 시간 잤지만 짧게..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를 읽으며 - (5) 모든 동물 종은 예외 없이 잠을 잔다. 무척추동물까지도 포함해서. 저자는 "잠"이란 어떤 의미에서는 최초의 지구 생명과 함께 출현했다고 말한다. "잠"이 모든 동물계에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이긴 하지만, 저자는 각 동물들의 수면은 네 가지 측면에서 제각각 다르다고 한다. 첫째: 잠자는 시간은 종마다 다르다. 어떤 종은 4시간 정도밖에 안 자도 되지만, 15시간 19 시간을 자야..